우리는 더불어 살아가는 이들
특히 가난한 이들에게 개방적이어야 한다.
We are open to those among whom we live, especially the poor.
– 회헌 4,5
We are open to those among whom we live, especially the poor.
– 회헌 4,5
세월이 흐르고 흘러, 이 땅에서 온갖 풍파를 겪으셨던 독일 수녀님들은 이제 모두 하늘 본향으로 가셨습니다.
그러나 그분들이 이 땅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가져오신 약초 씨앗들은 이 땅에서 뿌리를 내리며
우리와 함께 길이길이 수녀님들의 선교 정신을 이어갈 것입니다.
물질의 풍요 속에 살아가고 있는 이 세대의 우리들이 감히 실감하지 못하는 어려운 시대가 이 땅에도 있었습니다. 나라를 빼앗긴 일제 강점기 시대와 6.25사변으로 인한 극도의 혼돈과 궁핍의 시대를 들 수 있겠지요.
그렇게 우리가 가난한 나라였을 때에 하느님을 전하고자, 또 가난한 사람들 안에 계시는 주님을 평생토록 섬기고자 이 땅에 찾아온 선교사들이 계셨습니다. 우리 수녀회도 바로 그 격동의 두 시대를 지나서 오늘에 이르게 된 수도회 중의 하나입니다.
일제 강점기 한 중간인 1925년, 독일 툿찡 모원에서 4명의 수녀님들이 선교사로서 원산(함경도에 위치)에 파견되어 오셔서 시작된 우리 수녀회는 그 시대에 가장 필요로 하는 의료활동과 교육활동에 주력했지요.
특별히 의료봉사를 하시던 독일 수녀님들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하여 독일의 약초를 가져오셔서 생약을 만들어 보급하셨는데, 지금도 수녀원에서는 20가지가 넘는 약초를 재배하여 코푸시럽으로 감기를 물리치는 등 여러 가지를 만들어 보급하려 준비하고 있습니다.
‘약초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수녀원에서 키우는 약초들 중 터줏대감 약초들에 관한 여러 정보들과 저의 체험들을 함께 나누고자 시작한 것이 어언 3년이 지났습니다. 그런데 농사일에 매진하다 보니 시간만 쏜살같이 지나갔지 올린 글은 턱없이 부족하여 민망하고 죄송스럽기 그지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닦달 않으시고 인내롭게 기다려주시는 홈피지기 수녀님의 너그러우신 마음과 배려 덕분에, 염치 불구하고 다시 용기를 내어 이렇게 오래간만에 새로운 약초이야기를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제가 소개할 약초, 허브는 바로 세이지입니다. 세이지는 종류가 너무 많고 그 생김새도 같은 종류인가 싶을 정도로 각양각색이지만, 수녀원 약초밭에서 키우는 세이지는 단 한 종류로 ‘커먼 세이지(Common sage)’이기 때문에,
이 커먼 세이지에 맞추어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겠습니다.
아시다시피 저희 수녀원이 독일 베네딕도 수녀회에 뿌리를 두어 독일 선교사 수녀님들에 의해 시작되었기에, 약초들도 지금까지 독일이름으로 불리어 오는 것이 많은데요, 이 세이지도 그렇습니다. 바로 ‘살바이’라는 독일이름으로 불리지요. 약용으로 쓰이는 커먼 세이지를 독일에서 수녀님들이 직접 가져와 키워 오신 거라, 처음에 저는 커먼 세이지가 세이지의 전부인 줄로만 알았답니다.^^
‘건강, 미덕, 장수’를 의미하는 세이지, 이제 그 진면모를 알아볼까요?
어원과 종류
식물의 어원을 더듬어 올라가다 보면 그 어원에서 식물의 특징이나 효능이 잘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세이지의 어원은 어떤 의미를 품고 있을까요?
먼저 세이지의 우리말 명칭은 ‘깨꽃’이라고 하네요. 그러고 보니 참깨 꽃과 생김새가 아주 흡사합니다. ^^
만개한 세이지 꽃
영어 이름인 세이지(Sage)는 불어 ‘Sauge’가 변한 말로 ‘건강하다’, ‘치료하다’, ‘구조하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리고 속명인 ‘Salvia’는 라틴어 ‘Salvere’가 그 어원으로서 영명과 같은 의미의 ‘구원하다’라는 뜻이지요. 이 어원을 통해서도 이미 오래전부터 세이지를 약용, 치료용으로 사용하여 왔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지요?!^ ^
실제로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 만병통치약으로 쓰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고 합니다. 즉, 뇌와 근육을 강화하여 장수하게 하는 영약으로 꾸준히 장복하면 죽음을 면한다고 까지 했으니, ‘구원’이라는 이름을 왜 식물에다 붙였는지 이제 이해가 되시죠?
유럽의 속담 중에 ‘장수를 하고 싶으면 5월에 세이지를 먹어라.’라는 속담이 전해져 오는 것도 역시 이 세이지의 위상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네요.
팁으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소세지(Sausage)의 어원이 바로 암퇘지(Sow)와 세이지(Sage)의 합성어라는 것, 처음 아셨죠? 그만큼 유럽에서는 세이지가 고기요리에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요리 부향제이자 천연 방부제로 쓰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세이지의 종류는 매우 다양해서 크게 관상용과, 약효가 뛰어나 밭에서 재배하는 가든용으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는데요,
관상용으로는 보라색 벨벳 같은 꽃을 피우는 맥시칸 세이지, 사루비아처럼 붉고 파인애플 향이 나는 파인애플 세이지, 체리색의 꽃을 피우는 체리 세이지, 체리 세이지의 변종인 핫립 세이지, 스칼렛 세이지, 블루 세이지 등이 있구요, 가든용으로는 대표적인 커먼 세이지와 그 외 퍼플 세이지, 골든 세이지, 트리칼라 세이지, 실버 세이지, 클라리 세이지 등이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 방입니다
베네숲
|
2018.12.22
|
추천 3
|
조회 2459
|
베네숲 | 2018.12.22 | 3 | 2459 |
13 |
풀따기 수녀의 이야기[8-3] - 세이지(살바이): 수확
베네숲
|
2018.11.19
|
추천 1
|
조회 3435
|
베네숲 | 2018.11.19 | 1 | 3435 |
12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8-2] - 세이지(살바이): 특성과 재배
베네숲
|
2018.11.19
|
추천 2
|
조회 3042
|
베네숲 | 2018.11.19 | 2 | 3042 |
11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8-1] - 세이지(살바이): 유럽의 만병통치약
베네숲
|
2018.11.19
|
추천 2
|
조회 3074
|
베네숲 | 2018.11.19 | 2 | 3074 |
10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3 쓰임새와 효능
베네숲
|
2018.03.16
|
추천 0
|
조회 2294
|
베네숲 | 2018.03.16 | 0 | 2294 |
9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2 재배
베네숲
|
2018.03.12
|
추천 0
|
조회 2047
|
베네숲 | 2018.03.12 | 0 | 2047 |
8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1. 어원과 종류, 재배
베네숲
|
2017.05.16
|
추천 0
|
조회 3258
|
베네숲 | 2017.05.16 | 0 | 3258 |
7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6] - 우리 수녀원의 박하 삼총사2
베네숲
|
2016.06.10
|
추천 0
|
조회 2162
|
베네숲 | 2016.06.10 | 0 | 2162 |
6 |
풀따귀 수녀의 약초 이야기[6] - 우리 수녀원의 박하 삼총사 1
베네숲
|
2016.06.10
|
추천 1
|
조회 2665
|
베네숲 | 2016.06.10 | 1 | 2665 |
5 |
풀따기 수녀의 약초이야기[5]_캐모마일
베네숲
|
2015.08.29
|
추천 0
|
조회 3962
|
베네숲 | 2015.08.29 | 0 | 3962 |
4 |
풀따기 수녀의 약초이야기[4] - 홀룬더
베네숲
|
2015.08.06
|
추천 0
|
조회 2516
|
베네숲 | 2015.08.06 | 0 | 2516 |
(41492)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로 363-36 / 053)313-3431~4 / osbdghp@naver.com
Copyright(c)2005 benedictine.or.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