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더불어 살아가는 이들
특히 가난한 이들에게 개방적이어야 한다.
We are open to those among whom we live, especially the poor.
– 회헌 4,5
We are open to those among whom we live, especially the poor.
– 회헌 4,5
세월이 흐르고 흘러, 이 땅에서 온갖 풍파를 겪으셨던 독일 수녀님들은 이제 모두 하늘 본향으로 가셨습니다.
그러나 그분들이 이 땅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가져오신 약초 씨앗들은 이 땅에서 뿌리를 내리며
우리와 함께 길이길이 수녀님들의 선교 정신을 이어갈 것입니다.
물질의 풍요 속에 살아가고 있는 이 세대의 우리들이 감히 실감하지 못하는 어려운 시대가 이 땅에도 있었습니다. 나라를 빼앗긴 일제 강점기 시대와 6.25사변으로 인한 극도의 혼돈과 궁핍의 시대를 들 수 있겠지요.
그렇게 우리가 가난한 나라였을 때에 하느님을 전하고자, 또 가난한 사람들 안에 계시는 주님을 평생토록 섬기고자 이 땅에 찾아온 선교사들이 계셨습니다. 우리 수녀회도 바로 그 격동의 두 시대를 지나서 오늘에 이르게 된 수도회 중의 하나입니다.
일제 강점기 한 중간인 1925년, 독일 툿찡 모원에서 4명의 수녀님들이 선교사로서 원산(함경도에 위치)에 파견되어 오셔서 시작된 우리 수녀회는 그 시대에 가장 필요로 하는 의료활동과 교육활동에 주력했지요.
특별히 의료봉사를 하시던 독일 수녀님들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하여 독일의 약초를 가져오셔서 생약을 만들어 보급하셨는데, 지금도 수녀원에서는 20가지가 넘는 약초를 재배하여 코푸시럽으로 감기를 물리치는 등 여러 가지를 만들어 보급하려 준비하고 있습니다.
쓰임새
타임은 고대부터 향료, 약용식물, 향신료, 목욕제 등으로 사용되어 온, 역사가 매우 긴 허브로 매우 다양하게 쓰였습니다.
그 중 향을 이용한 쓰임새가 가장 많아요. 타임은 말려도 향이 많이 옅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어 참 다양하게 쓰이기 때문인데요, 그 역사를 한 번 살펴볼까요?
먼저, 고대 그리스인들은 타임향의 지속성과 우아함 때문에 타임을 용기나 기품의 상징으로 여겼지요. 그래서 용기를 얻기 위해 종교적으로 타임 향을 피웠으며 신에게 바칠 제물을 깨끗이 하기 위해 의식의 제단에서 분향하는 재료로도 사용했다고 합니다. 반면 타임의 강한 향과 방부작용 때문에 시체를 보관하는 데도 사용하였습니다. 또 고대 그리스인들은 타임을 욕탕에 넣어 살갗을 깨끗하게 하고 신경을 가라앉히는 데에 사용했고, 고대 로마인들은 타임의 향기를 들이쉬면 멜랑콜리(우울증)를 불식시킨다고 하여 그 가지를 이용했다고 합니다.
중세기에 기사도가 전성기였을 시절에는 귀부인이 스카프에 타임과 꿀벌의 나는 모습을 수놓아서 기사에게 격려의 선물을 주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또 “타임 향기가 난다”라고 하는 말이 생겨나 유행하기도 했는데 이는 품위 있고 우아하며 용모가 수려하고 용기가 있는 사람을 지칭하는 최고의 찬사였다고 합니다.
옛날 영국의 엘리자베스 왕조 때는 마룻바닥에 뿌려서 전염병이나 해충을 예방했다고도 합니다. 또한 말린꽃을 봉지에 넣어서 장롱에 넣어두어 방충 방향제로 이용했으며 특히 모피제품이나 겨울용 모직물 의류를 간수하는 데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지요. 어때요, 작고 수수하게만 보이던 타임이 새롭게 다가오지요?
그럼 이번엔 일상 안에서의 쓰임새를 알아보겠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천연 방충 방향제의 역할 외에 가장 일반적인 용도로는 요리 부향제인데요, 타임향이 채소, 육류, 어패류, 계란 등 어느 것이나 잘 어울리기 때문에 모든 서양요리에서 부향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석이조로 타임은 부패 방지와 살균력이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고기 요리, 햄, 소시지, 치즈, 소스, 토마토케찹, 피클 같은 저장식품의 보존재 역할도 톡톡히 하지요. 타임요리를 힐링에 이용한 한 예로, 프랑스의 <타임 스프>는 타임을 주재료로 하고 맥주와 다른 향신료 등을 섞어서 만든 것인데 "사람기피증"을 고치는 묘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잎의 방향에 정신 강장의 효과가 있어 기분이 우울할 때 효과적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타임 향은 배추흰벌레 등이 기피하는 향이라서 미나리과 허브와 함께 심으면 좋습니다. 특별히 타임은 유럽에서 ‘가난한 이들의 항생제’라고 불릴 만큼 강한 항균효능이 있어 서민들과 함께 해온 약초이기도 합니다.
그 외 포푸리, 입욕제, 염료, 미용제 등에도 쓰여 지고 있으며 특별히 타임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외과 소독약으로 이용되거나 치약, 비누의 향료 등으로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효능 :
숙면을 돕고 두통을 감소시키며, 피부 수렴, 소화기 계통, 관절염, 근육통에 좋고 방부작용과 항균작용, 살균작용을 한다.
☞불면증, 두통: 타임차는 숙면을 돕고, 두통을 완화해주는데요, 1숟갈(1.5-2g)의 말린 타임 잎에 150ml의 끓는 물을 넣고 약 10분 정도 우린 뒤 하루에 여러 잔을 끓여 마십니다. 특히 악몽에 시달려 괴로워하는 사람은 취침 전에 타임차를 마시고 자면 좋다고 합니다.
☞감기, 기관지염, 인후통 등의 호흡기 질환: 타임 차를 마시거나 온수에 오일을 몇 방울 떨어뜨리고 수증기를 흡입하면 감기 예방, 기관지염, 자극 해소 등에 좋고 인후통을 부드럽게 합니다. 이는 타임에 함유된 티몰(thymol)이라는 정유가 살균, 방부뿐 아니라 gram 양성균에도 향균작용이 있어서 감기나 기침 등 호흡기질환에 진해제와 함수제로서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발작적인 기침과 기침으로 인해 목이 따가울 때 머위풀(Tussilago farfara)과 질경이를 함께 섞어 차로 마시면 항생효과까지 난다고 합니다.
감기기운이 있을 때에는 목욕물에 섞어 쓰셔도 좋습니다.
☞소화기 질환, 신경성 질환: 타임은 기본적으로 식욕을 촉진시켜주고 위장을 건강하게 해주며 몸의 산화를 중화시켜주어 알칼리성으로 만들어 주고 신장과 간장의 울혈을 풀어주는 신체 정화 작용을 해줍니다.
이러한 뛰어난 강장효과 뿐 아니라, 타임 차는 두통이나 우울증 등의 신경성 병, 빈혈, 피로 치료에도 도움을 줍니다.
☞피부 수렴: 피부의 각질을 제거해서 혈색을 좋게 해주고, 지성피부와 모발을 깨끗하게 세정을 해주는 효과를 갖고 있으며 티눈과 사마귀를 없애주는 좋은 치료제로도 쓰입니다.
말린 타임 100g을 끓인 물 1L에 넣어 10분 동안 우려낸 후 목욕물과 섞어서 입욕제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구취 제거: 타임 정유는 구취제거 작용을 하기 때문에 양치물로도 이용합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 보통의 경우 부작용은 없으나 양치물로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간혹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여타의 거담작용 치료제와 병행해서 사용하면 효과가 좋습니다.
*지나치게 사용 시 피부점막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 임신 중에는 사용을 금합니다.
지금까지 타임에 대한 여러 정보와 지식들, 그리고 저의 농사 경험들을 모두 모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키에, 까다롭지 않게 아무 데나 잘 자라 귀하게 취급받지도 못하는 허브, 타임(Thyme)!
그러나 인간과 함께 한 역사 속에서의 타임은 하나도 버릴 것 없이 실속 있고, 이롭고, 향기로워 얼마나 사랑스럽고 소중한 허브인지요?!
사람들 사이에서도 타임 같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있는 듯 없는 듯 자신의 존재를 애써 드러내려 하지 않지만 밀알 같은 존재, 소금처럼 짠 맛을 내는 존재들입니다. 세상을 이끌어가는 참 일꾼들입니다.
우리 모두 “타임 향기가 나는 사람”이 되길 희망해봅니다! ^^
봄을 맞은 타임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 방입니다
베네숲
|
2018.12.22
|
추천 3
|
조회 2320
|
베네숲 | 2018.12.22 | 3 | 2320 |
13 |
풀따기 수녀의 이야기[8-3] - 세이지(살바이): 수확
베네숲
|
2018.11.19
|
추천 1
|
조회 3302
|
베네숲 | 2018.11.19 | 1 | 3302 |
12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8-2] - 세이지(살바이): 특성과 재배
베네숲
|
2018.11.19
|
추천 2
|
조회 2878
|
베네숲 | 2018.11.19 | 2 | 2878 |
11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8-1] - 세이지(살바이): 유럽의 만병통치약
베네숲
|
2018.11.19
|
추천 2
|
조회 2891
|
베네숲 | 2018.11.19 | 2 | 2891 |
10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3 쓰임새와 효능
베네숲
|
2018.03.16
|
추천 0
|
조회 2176
|
베네숲 | 2018.03.16 | 0 | 2176 |
9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2 재배
베네숲
|
2018.03.12
|
추천 0
|
조회 1928
|
베네숲 | 2018.03.12 | 0 | 1928 |
8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1. 어원과 종류, 재배
베네숲
|
2017.05.16
|
추천 0
|
조회 3047
|
베네숲 | 2017.05.16 | 0 | 3047 |
7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6] - 우리 수녀원의 박하 삼총사2
베네숲
|
2016.06.10
|
추천 0
|
조회 2040
|
베네숲 | 2016.06.10 | 0 | 2040 |
6 |
풀따귀 수녀의 약초 이야기[6] - 우리 수녀원의 박하 삼총사 1
베네숲
|
2016.06.10
|
추천 1
|
조회 2544
|
베네숲 | 2016.06.10 | 1 | 2544 |
5 |
풀따기 수녀의 약초이야기[5]_캐모마일
베네숲
|
2015.08.29
|
추천 0
|
조회 3732
|
베네숲 | 2015.08.29 | 0 | 3732 |
4 |
풀따기 수녀의 약초이야기[4] - 홀룬더
베네숲
|
2015.08.06
|
추천 0
|
조회 2383
|
베네숲 | 2015.08.06 | 0 | 2383 |
(41492)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로 363-36 / 053)313-3431~4 / osbdghp@naver.com
Copyright(c)2005 benedictine.or.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