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더불어 살아가는 이들
특히 가난한 이들에게 개방적이어야 한다.
We are open to those among whom we live, especially the poor.
– 회헌 4,5
We are open to those among whom we live, especially the poor.
– 회헌 4,5
세월이 흐르고 흘러, 이 땅에서 온갖 풍파를 겪으셨던 독일 수녀님들은 이제 모두 하늘 본향으로 가셨습니다.
그러나 그분들이 이 땅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가져오신 약초 씨앗들은 이 땅에서 뿌리를 내리며
우리와 함께 길이길이 수녀님들의 선교 정신을 이어갈 것입니다.
물질의 풍요 속에 살아가고 있는 이 세대의 우리들이 감히 실감하지 못하는 어려운 시대가 이 땅에도 있었습니다. 나라를 빼앗긴 일제 강점기 시대와 6.25사변으로 인한 극도의 혼돈과 궁핍의 시대를 들 수 있겠지요.
그렇게 우리가 가난한 나라였을 때에 하느님을 전하고자, 또 가난한 사람들 안에 계시는 주님을 평생토록 섬기고자 이 땅에 찾아온 선교사들이 계셨습니다. 우리 수녀회도 바로 그 격동의 두 시대를 지나서 오늘에 이르게 된 수도회 중의 하나입니다.
일제 강점기 한 중간인 1925년, 독일 툿찡 모원에서 4명의 수녀님들이 선교사로서 원산(함경도에 위치)에 파견되어 오셔서 시작된 우리 수녀회는 그 시대에 가장 필요로 하는 의료활동과 교육활동에 주력했지요.
특별히 의료봉사를 하시던 독일 수녀님들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하여 독일의 약초를 가져오셔서 생약을 만들어 보급하셨는데, 지금도 수녀원에서는 20가지가 넘는 약초를 재배하여 코푸시럽으로 감기를 물리치는 등 여러 가지를 만들어 보급하려 준비하고 있습니다.
쓰임새와 효능
청량감이 특징인 민트류의 허브들은 특히 육류 요리의 소스를 만드는 데 많이 쓰이며 산뜻한 맛과 향으로 야채나 과일 샐러드에 뿌려서 사용하는 비니거나 탄산수로 만든 음료, 칵테일 등의 풍미를 내는 데 이용되고 있습니다. 또 박하는 구취를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 오래 전 A. D. 6 세기 경 부터 치약 재료로 이용했다고 합니다. 상쾌한 향의 스피아민트나 사과향을 가진 애플민트 등의 잎과 꽃을 응용하여 포푸리를 만들며 염료로도 사용하는데 민트로 염색하면 옅은 브라운 계통의 색이 된다고 합니다. 민트류는 종류에 다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살균, 소화 촉진, 건위 작용, 구내 소취제, 치약, 위약 등의 원료로 쓰이지요. 피부염이나 가려움증에도 약효가 있고 화장실에 놓아두면 악취 대신 박하향이 오랫동안 지속됩니다.
박하(민트)의 효능
☞잎, 줄기: 살균, 소화 촉진, 건위, 구내 소취, 항피부염, 가려움증에 좋음.
그럼, 구체적으로 우리 수녀원에서 키우는 세 박하의 쓰임새와 효능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페퍼민트
주로 요리 부향제, 민트 시럽, 차, 방충제로 쓰이는 스피아민트는 감기, 두통, 복부팽만, 생리통, 타박상에 좋으며 항균·살균작용, 구취 예방에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신경과 근육을 이완시켜주어 진정, 진통 효과가 크므로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목욕물에 넣어 사용했지요. 또 딸꾹질을 멎게 할 때, 통풍제, 소화불량 및 배멀미와 메스꺼운 데도 진정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몸에 열이 많거나 맥이 강한 경우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거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오데코롱
오데코롱
주로 포푸리, 화장품이나 향수, 목욕용품, 치약 등의 재료로 쓰이는 오데코롱은 살균, 방부 작용이 뛰어나고 구취 예방에 효과가 있습니다. 향이 강하기 때문에 식용보다는 외용으로 주로 사용하지요.
여기까지 제가 아는 짧은 지식에 여러 관련 사이트에서 얻은 많은 정보의 도움을 받아 향기 나는 풀, 박하에 대해 나누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는지요?
풀들이 이렇게 좋은 향기를 품고 있듯이 우리 사람들에게도 각자의 고유한 아름다운 향이 내재되어 있으리라고 봐요. 세상 욕심에 휩쓸려 옅어지고 섞여버린, 그러나 하느님께서 온전히 ‘나’에게만 부어 주신 그 고유한 향을 찾아가는 여행! 그것이 바로 우리 각자의 인생 여정이겠지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 방입니다
베네숲
|
2018.12.22
|
추천 3
|
조회 2320
|
베네숲 | 2018.12.22 | 3 | 2320 |
13 |
풀따기 수녀의 이야기[8-3] - 세이지(살바이): 수확
베네숲
|
2018.11.19
|
추천 1
|
조회 3302
|
베네숲 | 2018.11.19 | 1 | 3302 |
12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8-2] - 세이지(살바이): 특성과 재배
베네숲
|
2018.11.19
|
추천 2
|
조회 2878
|
베네숲 | 2018.11.19 | 2 | 2878 |
11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8-1] - 세이지(살바이): 유럽의 만병통치약
베네숲
|
2018.11.19
|
추천 2
|
조회 2891
|
베네숲 | 2018.11.19 | 2 | 2891 |
10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3 쓰임새와 효능
베네숲
|
2018.03.16
|
추천 0
|
조회 2176
|
베네숲 | 2018.03.16 | 0 | 2176 |
9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2 재배
베네숲
|
2018.03.12
|
추천 0
|
조회 1928
|
베네숲 | 2018.03.12 | 0 | 1928 |
8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7] - 타임(티미안) 1. 어원과 종류, 재배
베네숲
|
2017.05.16
|
추천 0
|
조회 3047
|
베네숲 | 2017.05.16 | 0 | 3047 |
7 |
풀따기 수녀의 약초 이야기[6] - 우리 수녀원의 박하 삼총사2
베네숲
|
2016.06.10
|
추천 0
|
조회 2041
|
베네숲 | 2016.06.10 | 0 | 2041 |
6 |
풀따귀 수녀의 약초 이야기[6] - 우리 수녀원의 박하 삼총사 1
베네숲
|
2016.06.10
|
추천 1
|
조회 2544
|
베네숲 | 2016.06.10 | 1 | 2544 |
5 |
풀따기 수녀의 약초이야기[5]_캐모마일
베네숲
|
2015.08.29
|
추천 0
|
조회 3732
|
베네숲 | 2015.08.29 | 0 | 3732 |
4 |
풀따기 수녀의 약초이야기[4] - 홀룬더
베네숲
|
2015.08.06
|
추천 0
|
조회 2384
|
베네숲 | 2015.08.06 | 0 | 2384 |
(41492)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로 363-36 / 053)313-3431~4 / osbdghp@naver.com
Copyright(c)2005 benedictine.or.kr. All rights Reserved.